코딩 스타일이란?
코딩을 할 때 변수를 선언해야 하는 상황이 올 때, 이름을 보기 편하기 위해 불문율적인 협약에 가깝습니다. 사람마다 다양한 스타일이 있을 수 있지만, 한 프로젝트에서는 통일된 스타일을 사용해야 유지보수에 용이하고 가독성이 올라가기 때문에, 한 종류의 스타일을 고집하지 말고 다양한 스타일을 지향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타일은 개인의 취향 차이일 뿐 우열이 있지는 않다고 보는 게 맞겠군요.
카멜 식 표기법
여러 단어를 이어써야 하는 경우는 항상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변수 이름에 공백이나 특수문자가 들어가면 좋지 않기 때문에, 여러 단어를 붙여 쓰는 형식이 주로 사용됩니다. Camel Case는 맨 앞의 글자는 소문자로 표기하고, 그다음 오는 단어의 앞글자는 대문자로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camelCase
파스칼 표기법
파스칼 표기법은 카멜식과 비슷하나, 앞의 문자도 대문자로 표시한다는 점만 다릅니다. 필자가 자주 사용하는 표기법이기도 하네요.
PascalCase
스네이크 표기법
스네이크 표기법은 단어 사이에 언더바(_)를 넣어서 표기하는 스타일입니다. 언더바를 2개 이상 붙여서 사용하면 보기 지저분해져서 지양하는 편이며, 언더바 뒤에 소문자를 사용하면 spiral_case, 대문자를 사용하면 Train_Case라고 불립니다.
Train_Case
spiral_case
Screaming Snake Case
번외로 스네이크 표기법에서 모두 대문자로 적으면 Screaming snake라고 부르며, 주로 중요한 내용에 사용한다고 합니다.
SCREAMING_SNAKE_CASE
재미로만 알아두자!
이외에도, 케밥, 헝가리안, GNU 등의 다양한 스타일이 있지만, 코딩 스타일이라는 게 있구나라는 것만 알고, 참여할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작성되는지만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하긴 하지만 모든 종류를 암기할 필요는 없으니 재미로만 알아두세요!
'Tech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USB 맥에서 안될때, USB 맥 포맷하는 방법 (0) | 2023.03.04 |
---|---|
Diff-svc로 음성복제 AI사용하기 튜토리얼 (0) | 2023.02.17 |
파이썬 프로그래밍 #1 (0) | 2023.02.15 |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위한 크리에이터 뮤직 출시 (2) | 2023.02.14 |
맥에서 게임을 하기 어려운 이유? (0) | 202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