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다운(Markdown) 서식 사용법

서론

마크다운 언어는 John Gruber가 창시한 텍스트 문서를 꾸미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경량 마크업 언어입니다. 간결하고, 다양한 버전과 플랫폼에서 지원을 하지만, 너무 많은 버전의 플레이버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프로그램마다 약간씩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마크다운

 

헤더

글씨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h1 ~ h6까지의 표현이 가능합니다.

# h1
## h2
### h3
#### h4
##### h5
###### h6

사용법은 #을 붙이고 한칸 띄워서 글씨를 입력하면 됩니다. 사용 시 모습은 아래의 접은 글을 펼쳐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더보기

h1

h2

h3

h4

h5

h6

 

 

글씨 변경

코드 사용 변화
기울임 *기울임* 또는 _기울임_
볼드체
**볼드** 또는 __볼드__
취소선 ~~취소선~~
밑줄 <u>밑줄<\u>

 

 

인용

이런 인용을 구성하는데 사용됨
>으로 사용 가능

 

> 인용문장

>>이중 인용

인용
이런식으로 무한히 사용할수 있다. 사용 텍스트 에디터는 옵시디언.

 

수평선


티스토리 에디터의 구분선중 가장 긴 구분선(위의 모델)을 뜻한다.

* * *
*** (3개 이상이면 가능)
- - -
___(3개 이상) 또는 ---(개수동일)

 

 

 

 

글머리 기호

  • 이런 것이나
  1. 이런 것들을 의미한다.
숫자와 온점으로 순서있는 글머리 기호를 사용
1.
2.
3.
	4.
5.


* , + , - 기호를 사용해 숫자 없는 글머리 기호 사용
* 첫번째
* 두번째
	- 이렇게 섞어쓰는것도 가능
   		+ 상하관계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는것이 좋음

 

 

 

코드 삽입

백틱( ` )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내용 ` 으로 인라인 코드 블록  내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코드 강조 표시를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 (언어이름)

    print("hello, world!")
```

print("hello, world!")

예시로 파이썬 코드를 사용한 것이지만, 다양한 언어를 지원합니다.

 

표는 하이픈과, 콜른, 버티컬 바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버티컬 바와 버티컬 바 사이가 한 셀이 됩니다. 헤더 셀(맨 위의 행)을 선언하고 난 후에 하이픈(-) 3개 이상이 포함된 셀을 넣어 이게 표라는 걸 인식시킵니다.

 

 

|헤더| 헤더2|
|---|---|
|정렬|정보|
|---|---|
정렬 표현 설명
가운데 정렬 :---: 하이픈 양 끝에 콜른을 붙임
우측 정렬 ---: 하이픈 오른쪽에 붙임
좌측 정렬 :--- 하이픈 왼쪽에 붙임

 

표

위처럼 하이픈이 포함된 셀을 또 넣더라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각 셀마다 정렬을 다르게 설정할 수는 없습니다.

 

 

링크

  [표시](link)

를 사용하면 하이퍼링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메일 주소등을 링크에 사용하면 자동으로 이메일 링크를 생성해 클릭하면 이메일을 바로 작성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이미지

이미지는 링크와 문법이 유사합니다. 앞에 ! 만 붙여 주면 됩니다.

![대체텍스트](이미지경로)
로컬 파일의 주소나 인터넷 웹 이미지를 이용해 등록할수도 있습니다.

만약, 이미지에 하이퍼링크 효과를 적용시키고 싶으시다면 다음과 같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Title](이미지주소)](링크주소)

 

 

 

 

참고 : https://www.markdownguid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