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확장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려면 복구 환경에서 보안설정을 수정해야 합니다.
애플 실리콘 맥을 사용하다보면 한 번쯤 겪어보시는 문제입니다. M1으로 넘어오면서 애플의 보안 정책 또한 강화되어,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을 건드리려면 리커버리 모드에서 복구설정을 해야 합니다. 알고 보면 복잡할 것 없이 잘 따라 하시면 설정을 마치실 수 있습니다.
복구모드 진입
복구 모드에 진입하려면, 시스템 종료 혹은 재시동을 선택하고, 애플 로고가 나오기 전에 시동키인 Touch ID를 꾹 누르고 있으시면 평소 부팅 화면 밑에 시동 옵션이 표시될때까지 누르고 있기라는 명령이 표시됩니다.
위 화면이 표시될때까지 누르고 있으시면 됩니다. Machintosh HD와 옵션 중에서, 보안 설정을 수정하려면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옵션을 선택하면 Mac os 복구라고 떠서 당황하실 수 있습니다. 맞게 왔으니 침착하게 장치의 비밀번호를 입력해 진행하시면 좌측의 화면처럼 구성됩니다.
보안 설정 하는법
복구 화면에 진입하셨으면 50%는 다 된 것입니다. 이제 우측 상단 > 유틸리티 > 시동 보안 유틸리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맥 os가 설치된 매킨토시 하드디스크를 선택해 보안 정책.. 을 눌러 진행합니다.
이곳에서 완전 보안에 선택되어 있는 항목을 부분 보안으로 옮겨줍니다. 그리고 확인된 개발자가 배포한 커널 확장 파일의 사용자 관리 허용만 체크해 주시면 됩니다. 원격 관리의 경우 조금 더 보안이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에 정말 필요한 분이 아니시라면 킬 필요가 없습니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는 확인된 개발자만 클릭해 주어도 정상 동작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고, 확인하시면 보안 설정 적용..이라고 아래에 작게 뜨다가, 어느 순간 완료될 것입니다. 완료되면 다시 좌측 상단으로 가서 재시동하시면 되겠습니다.
맥의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히는 게 이 보안기능인데, 일반 컴퓨터를 잘 모르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상당히 불편하게 느껴질 듯합니다. 윈도우가 보안보다 사용자 경험을 중시한다면(보안이 약하다는 뜻은 아닙니다), 맥은 그 반대로 사용자 경험보다 보안에 신경 쓴 느낌으로, 크게 불편하진 않은데 자잘하게 걸리적거리는 느낌이 많다고 느껴지네요.
'Tech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에서 게임을 하기 어려운 이유? (0) | 2023.02.12 |
---|---|
챗GPT의 위기? 구글의 라이벌 AI 바드 발표 (0) | 2023.02.07 |
맥북 볼륨 믹서 다운하는법, 필수 프로그램중 하나! (0) | 2023.02.05 |
챗 GPT를 걸러내는 방법? Detect GPT의 등장 (0) | 2023.01.30 |
챗 GPT로 블로그 글 쉽게 작성하는법 (0) | 2023.01.29 |